-
매일 마시는 텀블러가 '식중독 폭탄'으로 변하고 있다!
미국 식품안전 전문가들이 재사용하는 물병과 텀블러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위험한 박테리아의 번식지가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물병 내부에는 단 하루 만에 박테리아가 수백만 마리까지 증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퍼듀대학교의 식품안전 전문가 칼 벤크 교수는 자신의 충격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물병을 닦았던 종이 타월이 흰색이었는데, 꺼냈을 땐 누렇게 변해 있었어요. 그때 내부의 미끈거림이 재질 때문이 아니라 박테리아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죠." 이 발견 이후 벤크 교수는 대학 캠퍼스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의 물병을 빌려 실험을 진행했고, 대부분의 물병에서 다량의 박테리아가 검출되었다.텀블러와 물병이 세균의 온상이 되는 이유는 명확하다. 이들은 손과 입술 등과 자주 접촉하는 데다, 우유, 커피, 주스 같은 음료에는 지방, 당, 단백질 등 세균의 먹이가 될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한 연구는 더욱 충격적인 결과를 보여준다. 심지어 끓인 물조차도 하루 동안 물병에 담겨 있으면 박테리아 수가 7만 5000마리에서 100~200만 마리까지 급증했다.더 우려스러운 것은 텀블러에서 발견되는 세균의 종류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진행한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등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물병 여섯 개의 세균과 병원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여섯 개 중 한 개의 물병에서 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다. 포도상구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세균이지만, 연부 조직 감염, 중이염, 인후염, 폐렴, 심내막염, 식중독 등 다양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원인균이다.텀블러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전문가들은 단순히 물로 헹구는 것만으로는 세균을 제거할 수 없다고 강조한다. 반드시 세제와 솔을 사용해 구석구석 닦아야 한다. 특히 베이킹소다는 살균과 정화 효과가 있어 텀블러의 물때 제거에 효과적이다.벤크 교수는 구체적인 세척 방법을 제안한다. "세제와 60도 이상의 뜨거운 물을 사용해 10분 정도 담가두고, 꼼꼼히 헹군 후 공기 중에 말리는 것이 좋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텀블러를 물로 헹구고, 베이킹소다를 섞은 뜨거운 물에 한 시간 정도 담아둔 뒤 씻는 것이다. 이때 스테인리스 빨대, 텀블러 뚜껑, 실리콘 마개도 함께 닦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베이킹소다가 없다면 달걀 껍데기를 소금 한 숟갈과 함께 미지근한 물에 넣어 씻는 것도 효과적이다. 기름때가 있는 경우에는 키친타올에 식용유를 묻혀 텀블러를 닦은 후 주방세제로 세척하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세척 후에는 반드시 잘 말려서 보관해야 하며, 사용 중 코팅이 벗겨지거나 변색이 있을 경우에는 즉시 교체하는 것이 안전하다.환경을 생각해 일회용 컵 대신 텀블러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
조각보와 무당 방울이 런던 미술계를 뒤흔든 이유...영국인들도 놀란 '한국적 미학'
영국 현대미술계의 최고 권위를 자랑하는 '터너상'에 사상 처음으로 한국계 작가가 최종 후보에 올라 화제를 모으고 있다. 테이트 미술관은 23일(현지 시간) 2025년 터너상 최종 후보 4인에 제이디 차(한국명 차유미·42)가 포함됐다고 공식 발표했다.캐나다 출생의 차 작가는 한국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한국 전통문화와 설화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다. 특히 마고 할미, 바리공주, 구미호 같은 한국 전설과 무속 문화, 조각보 등 한국적 요소를 현대 미술 언어로 재해석한 작품들로 국제 미술계의 주목을 받았다.터너상 심사위원단은 "차 작가가 한국 무속문화의 황동 방울이나 보자기를 활용해 만든 생생한 조각, 사운드, 설치 작품이 깊은 사유와 매혹적인 예술 세계를 정교하게 보여주었다"며 높이 평가했다. 차 작가의 작품은 동서양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화적 정체성과 신화적 상상력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는 평을 받고 있다.이번에 후보로 선정된 작품은 2024년 2월부터 6월까지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열린 '샤르자 비엔날레 16'에 출품한 설치 작품 '심해의 메아리를 가로지르는 달빛 고백: 당신의 조상은 고래, 지구는 모든 것을 기억한다'이다. 이 작품은 스페인 출신의 베니토 마요르 발레호 작가와의 협업으로 탄생했으며, 깊은 바다와 고래의 이미지를 통해 조상과 기억, 지구 생태계의 연결성을 탐구한다.차 작가는 이전에도 제주 해녀에게서 영감을 얻은 작품으로 2022년 제주비엔날레에 참가한 바 있으며, 2023년에는 스페이스K 미술관에서 국내 첫 개인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현재는 영국 런던을 기반으로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소식을 접한 차 작가는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후보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깜짝 놀랐다. 나처럼 평범한 예술가의 작품을 좋게 봐주어 감사하고 겸허한 마음이 든다"라며 소감을 전했다.1984년 영국의 대표적 화가 윌리엄 터너(1775~1851)를 기리기 위해 제정된 터너상은 영국에서 활동하는 현대미술 작가들에게 수여되는 최고 권위의 상으로, 애니시 커푸어, 데이미언 허스트 등 세계적인 미술가들이 수상한 바 있다. 차 작가와 함께 최종 후보에 오른 작가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은넨나 카루, 이라크 출신의 모하메드 사미, 영국의 레네 마티치다.최종 수상자는 오는 12월 9일 영국 웨스트요크셔에서 열리는 시상식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한국계 작가의 첫 터너상 후보 진출은 국제 미술계에서 한국 문화와 예술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주간 이슈
금주의 핫이슈 TOP10
- 4개월 만에 35억벌었다!! 주식, 순매도 1위종목..."충격"
- 72억 기부한 미녀 스님, 정체 알고보니..충격!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마을버스에 37억 두고 내린 노인 정체 알고보니..!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역류성식도염 증상있다면, 무조건 "이것"의심하세요. 간단치료법 나왔다!
- 인천 부평 집값 서울보다 비싸질것..이유는?
- 폐섬유화 환자 98% 공통된 습관 밝혀져…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월3천만원 수입 가져가는 '이 자격증' 지원자 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