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 한국경제

지난 26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너는 반드시 벌받을 거야'라는 자극적인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함께 공개된 사진 속 수박은 제사상에 올렸던 흔적이 역력했다. 수박의 윗부분이 깔끔하게 잘려 있었고, 더욱 충격적인 것은 중간 부분까지 갈라져 있는 상태였다는 점이다. 이는 제사 의식에서 과일을 반으로 가르는 전통적인 방식을 따른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글을 작성한 마트 직원으로 추정되는 작성자는 분노를 감추지 못했다. "이러고 반품을 하냐"며 강한 불쾌감을 드러낸 그는 "너무 농익었다고? '귀신같이 안다'라는 말처럼 귀신은 다 알고 있다. 너는 반드시 벌 받을 거다"라고 적어 해당 고객의 행동에 대한 분노를 표현했다.
놀랍게도 이러한 사례는 결코 드문 일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로 부산의 한 대형마트에서는 이런 일이 너무 빈번하게 발생하자 아예 별도의 안내문을 게시하기에 이르렀다. 해당 마트는 "수박 구매하신 분 중 제사만 지내고 반품하시는 분이 많다. 제사 지내고 환불 반품 안 된다"라는 내용의 공지사항을 매장 내에 부착했다. 이는 그동안 얼마나 많은 고객들이 이런 식으로 반품을 시도했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 같은 현실은 유통업계 종사자들에게는 이미 잘 알려진 골칫거리 중 하나다. 명절이나 제사철이 되면 과일, 특히 수박과 같은 고가의 제수용품을 구매한 후 제사를 마치고 나서 "상품에 하자가 있다"거나 "너무 익었다" 등의 이유를 들어 반품을 요구하는 사례가 급증한다는 것이다.
이 사건이 온라인에 공개되자 네티즌들의 반응은 일제히 비판적이었다. "제사 지내고 반품하는 진상들이 꼭 있다. 이런 거 반품 안 해준다고 마트 욕할 사람 없으니 반품해 주지 마라"라며 마트 측의 강경 대응을 촉구하는 의견이 쏟아졌다.
유통업계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한 네티즌은 "대형마트에서 근무하면 입던 속옷, 먹던 쌀 등을 반품해 달라고 난리 치는 별의별 경우를 다 볼 수 있다. 이 정도는 일상다반사"라며 소매업계의 현실을 폭로했다. 이는 일부 소비자들의 상식을 벗어난 반품 요구가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수박 살 돈 없으면 그냥 제사를 지내지 마라"라는 직설적인 댓글은 많은 공감을 얻었다. 경제적 여건이 어렵더라도 이런 식으로 상도덕을 어기는 행위는 정당화될 수 없다는 것이 대다수 네티즌들의 의견이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반품 분쟁을 넘어서 우리 사회의 도덕적 기준과 상거래 윤리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소비자의 권리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상식과 도덕을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사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hankukpres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